the new york times // 2025.02.05
https://www.nytimes.com/2025/02/04/us/politics/fbi-names-trump-jan-6-lawsuit.html
🚨 FBI 요원들, 트럼프 행정부의 신원 공개 요구에 법적 대응
FBI 요원들이 트럼프 행정부가 1·6 의회 폭동 수사를 담당했던 요원들의 신원을 공개하려 한다며 법원에 보호 조치를 요청했습니다.
🔹 주요 내용
✔ 익명의 FBI 요원 및 직원들, 신원 보호 소송 제기
- 트럼프 행정부가 1·6 폭동 및 마러라고 문서 사건을 수사한 FBI 요원들의 명단 제출 요구
- 최대 6,000명의 요원이 대상
- 요원들은 신원 공개가 자신과 가족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며 법적 보호 요청
✔ 트럼프 행정부의 의도?
- 공식적으로 신원 공개 계획은 밝히지 않았지만, 대규모 해고 가능성 제기
- 법무부, 이미 트럼프 수사 관련 검사들 해고
- FBI 요원 측 변호인: "정치적 보복을 위한 불법적 숙청의 전조"
✔ 제기된 두 건의 소송
1️⃣ 집단 소송:
- 9명의 익명 FBI 요원 대표
- 트럼프 및 관련 인물 수사에 관여한 모든 FBI 요원을 대변 (최대 6,000명)
- 근로자 권리 보호 단체 ‘Center for Employment Justice’가 소송 지원
2️⃣ 긴급 금지 명령 요청:
- FBI 요원 협회 및 7명의 개별 요원 참여
- 신원 공개가 즉각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초래할 것 주장
- 비당파적 법률 단체 ‘State Democracy Defenders Fund’가 지원
✔ 민주당 및 법률 전문가 경고
- 민주당 소속 변호사들, 법무부에 신원 공개 중단 요청
- 트럼프 정부의 권력 남용 및 FBI 독립성 훼손 우려
뉴닉 // 2025.02.05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38573309
📉 ‘트럼프발 관세 전쟁’ 본격화… 금융시장 요동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 조치(멕시코·캐나다 25%, 중국 10%)가 본격 시행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큰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달러 강세, 금값 폭등, 가상자산 급락 등의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 달러 초강세… 글로벌 통화 가치 하락
✔ 달러 인덱스 1.25% 상승 → 109.519 기록
✔ 각국 통화 약세:
- 중국 위안화: 역외 거래 기준 사상 최저
- 멕시코 페소: 2022년 이후 최저
- 캐나다 달러: 2003년 이후 최저
- 유로화: 2년 만에 최저
✔ 원·달러 환율 급등: 1430원대 → 1460원대 돌파
🔹 안전자산 선호 심화 →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 금 선물 가격: 온스당 $2,835로 사상 최고치
✔ KRX 금현물 가격: g당 13만8,000원 (3.6% 상승, 거래대금 557억 원)
🔹 가상자산 폭락… 비트코인·이더리움 급락
✔ 비트코인: 6.29% 하락 → $93,924
✔ 이더리움: 20% 이상 급락
✔ 리플(-22.05%), 솔라나(-8.58%) 등 주요 코인 동반 하락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80698.html
🇨🇳 중국, 미국의 추가 관세에 맞불… 보복 관세·수출 통제·WTO 제소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10% 추가 관세가 4일(현지시간) 발효되자, 중국이 강력한 맞대응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 미국산 석탄·석유 등 80개 품목에 추가 관세
✔ 텅스텐 등 희귀 금속 수출 통제
✔ 구글 반독점 조사 착수
✔ 미국 상무부 WTO 제소
🔹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 (10일부터 시행)
✔ 추가 관세 15% 부과:
- 미국산 석탄, 갈탄, 액화천연가스(LNG) 등 8개 품목
✔ 추가 관세 10% 부과: - 미국산 원유, 농기계(이양기·제초기·트랙터), 대형차·픽업트럭 등 72개 품목
✔ 중국 정부 입장: - "미국의 일방적 관세 부과는 WTO 규칙 위반"
🔹 추가적인 경제 보복 조치
✔ 구글 반독점 조사 착수 → "시장 경쟁 방해 혐의"
✔ 텅스텐·희귀 금속 25개 품목 수출 통제
✔ 美 기업 블랙리스트 추가:
- 캘빈클라인·토미힐피거 모회사 ‘PVH’
- 유전체 분석기업 ‘일루미나’ → "중국 기업 차별 조치"
🔹 중국, WTO에 미국 제소
✔ 미국의 10% 추가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WTO 분쟁 해결 메커니즘에 제소
✔ 중국 상무부: "중국의 합법적 권익을 지키기 위해 조치"
https://www.nytimes.com/live/2025/02/04/us/trump-administration-rfk-jr-gabbard
🇺🇸 트럼프, 가자지구 미국 영토화 선언… "중동의 리비에라로 만들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를 미국이 점령하고 팔레스타인 주민을 강제 이주시키겠다는 계획을 발표해 국제적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 가자지구를 미국 영토로 편입 → 관광·경제 중심지 개발
✔ 200만 명 팔레스타인 주민 이주 추진
✔ "가자는 지옥 같은 곳, 주민들도 떠나길 원할 것"
✔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 트럼프 계획에 미소로 화답
✔ 하마스·이집트·요르단 강력 반발 → 국제법 위반 지적
🔹 트럼프의 ‘가자지구 점령’ 선언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가자지구를 미국이 직접 점령해 복구하고, 중동의 리비에라(Riviera)로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 트럼프 발언:
✔ "가자에 사는 것은 지옥과 같다. 사람들이 떠나고 싶어 한다."
✔ "미국이 가자를 소유하고 책임지겠다. 폭탄 처리부터 경제 개발까지 하겠다."
✔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이집트·요르단 등 다른 나라로 이주할 것."
트럼프는 **"이 지역 국가들이 이주를 위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완전한 강제 이주를 기정사실화했습니다.
🔹 국제법 위반 논란
⚠ 가자지구는 국제법상 팔레스타인의 영토
✔ 트럼프의 발표는 "강제 이주는 제네바 협약 위반"이라는 국제법 위반 논란을 촉발했습니다.
✔ 하마스 즉각 반발: "팔레스타인 강제 이주는 혼란과 긴장을 부를 것"
✔ 이집트·요르단: "대규모 팔레스타인 유입은 안 된다"
트럼프는 이에 대해 "나는 그들이 '안 된다'고 말할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강행 의지를 밝혔습니다.
🔹 이스라엘과의 관계 및 중동 정세 변화
✔ 네타냐후, 트럼프 계획에 긍정적 반응
✔ 트럼프-네타냐후 정상회담 → 중동 평화 협상 논의
✔ 이란 핵 문제도 협상 가능성 시사 → "최대 압박 정책 재개"
부딩 // 2025.02.05
📈 서울 아파트 시장, 과거 사이클 분석과 향후 전망
서울 아파트 시장은 6~7년 상승 후, 4~5년 조정을 반복하는 패턴을 보여왔습니다.
✔ 📌 과거 흐름:
1️⃣ 2015~2021년: 장기 상승장
2️⃣ 2022년 이후: 미국 금리 인상으로 조정기 진입
3️⃣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유사한 흐름
- 매물 증가, 매수심리 위축 → 단기 급락
- 3~4년 보합세 후 전셋값 상승과 함께 반등
🔹 전세가율과 매매가의 상관관계
💡 전세가율(전세가/매매가 비율)은 시장의 전환점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
✔ 2015년 상승장 초반:
- 전세가율 65% 돌파 후 매맷값 상승 본격화
✔ 현재(2024년 12월 기준) 전세가율:
- 54.04%(출처: KB부동산)
- 아직 상승장 전환을 논하기엔 부족
📊 결론:
전세가율이 다시 60~65%를 넘어서면 시장 반등 가능성↑
현재 전세가격 상승 흐름이 지속될 경우, 서울 아파트 시장의 전환점이 다가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하락장 신호 3가지 & 대응 전략
🔹 시그널 1: 6개월 이상 조정 반복 → 피로감 누적
✔ 과거 사례
- 2003~2007년: 노무현 정부 시절 서울 아파트 급등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3개월 급락 후 3년 보합세
- 2012년: 2차 폭락 발생 (약 4년 조정 후)
- 현재(2022~2024년): 금리 인상 이후 등락 반복하며 피로감 축적
✅ Check!
☑ 집값 조정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면, 매물·자금 점검 후 급매 시세를 예의주시
🔹 시그널 2: 예상 밖 변수가 터짐 → 급매 출현 가능성
✔ 역대 촉매제 사례
- 1997년 IMF 외환위기 → 부동산 시장 급랭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 아파트 가격 장기 침체
- 2022년 미국 급격한 금리 인상 → 거래절벽 심화
✅ Check!
☑ 금융·정치·외환 등 ‘예상치 못한’ 대외 변수 등장 시, 매수 타이밍 대비
🔹 시그널 3: 거래량 급감 → 추가 하락 신호
✔ 거래량 감소 패턴
-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 (2024년 1월): 1400건대
- 전년 7월(9218건) 대비 급감 → 심리 위축 & 급매 증가 가능성
✅ Check!
☑ 거래량 감소 & 매물 증가 시, 실수요자도 적극적으로 매수 시점 고려
📌 결론 & 전략
🔺 매수자 관점:
- 금리 인하 가능성, 전세가율 상승 여부 고려
- 거래량 회복 여부를 지켜보면서 급매물 적극 탐색
🔻 매도자 관점:
- 시장 불확실성이 크다면 급매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대비
- 핵심 지역 위주로 매물이 먼저 소진되는 흐름 주시
📢 🚨 시장이 다시 반등할지, 추가 하락할지는 외부 변수 & 거래량 추이를 주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