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장노동인구 규모 감소를 인적자본의 질 개선으로 만회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노동생산성이 두 배로 높아지면 노동력이 절반으로 줄어도 실질적인 노동 투입 규모를 유지할 수 있다. 교육혁신을 통해 새로운 세대를 더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인재로 키울 수 있다면 젊은 노동인구가 급감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기술과 장비를 도입하여 노동력을 대체하거나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방안도 중세 유럽인이 갖지 못했던 선택지이다. 이미 많은 분야에 자동화, 로봇,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이 도입되어 생산 현장에서 사람을 대체하고 있다. 2장앞서 살펴본 결과는 한국의 노동인구가 고령화되는 한편 고학력화될 것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노동인구의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