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eknews weekly // 20250317
Figma Integration on Bolt.New Transforms Design Collaboration
Figma Integration on Bolt.New Transforms Design Collaboration
Experience seamless collaboration with Bolt's new Figma integration, allowing designers and developers to work together effortlessly and streamline their workflow.
www.popularaitools.ai
주요 기능
이 통합 기능은 Figma 디자인을 풀스택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하여 개발 워크플로우를 크게 단순화합니다. 다양한 프로젝트 유형에서 유용하며, 디자인과 코드 간의 원활한 연결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AI 기반 개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코딩 작업을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향상합니다.
✔️ 디자인-코드 변환: 디자인 요소를 직접 기능적인 코드로 변환하여 수작업과 오류를 줄입니다.
✔️ 빠른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입 제작 및 공유 속도를 높여 팀이 더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Bolt와 Figma의 시너지는 보다 효율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며, 초보 디자이너부터 숙련된 개발자까지 누구나 손쉽게 고품질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텍스트 이모지를 간편하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정적웹 | GeekNews
텍스트 이모지를 간편하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정적웹 | GeekNews
sveltekit으로 만들고github pages로 서빙하고 있습니다(https://github.com/jujumilk3/text-emoji)촌철살인 피드백 감사합니다
news.hada.io
text-emoji/text-emoji at main · jujumilk3/text-emoji · GitHub
text-emoji/text-emoji at main · jujumilk3/text-emoji
A project for creating text emojis. Contribute to jujumilk3/text-emoj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부딩 // 20250318

[부린이 가이드] '가점' 말고 '납입총액'?… 마곡 공공분양, '로또'도 알아야 맞는다 - 아시아경제
[부린이 가이드] '가점' 말고 '납입총액'?… 마곡 공공분양, '로또'도 알아야 맞는다 -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부동산 기자가 되면 친구들에게 뜬금없이 카톡이 오곤 합니다. "청약 넣으려면 어떻게 해야 돼?" "1순위가 뭐야?" 청약통장은 그저 부...
www.asiae.co.kr
•청약통장 가입 기간 짧다면 민간분양이 답
→ 공공분양(전체의 47%)은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길수록 당첨에 유리합니다.
→ 가입 기간이 짧으면 당첨 확률이 낮으니 민간분양(53%) 준비가 현실적입니다.
•해당 지역 거주? 지금부터 시작
→ 민간·공공분양 모두 해당 지역 거주자에게 30~50% 우선권을 줍니다.
→ 3기 신도시 분양을 노린다면? 지금이라도 해당 지역으로 이사해 1~2년 거주 요건을 채우세요.
→ 본청약이 밀린 덕(?)에 거주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습니다.
•무주택 인정? 바뀐 기준 체크
→ 빌라나 오피스텔을 보유했다 해도 “청약은 끝났다”고 단정하지 마세요.
→ 2024년 12월 18일부터 수도권에서 공시가 5억 원 이하(시가 7억~8억 원) 비아파트 주택을 보유해도 청약 시 ‘무주택’으로 인정합니다.
•입주 지연 = 전세난, 대비 필수
→ 3기 신도시를 기다리는 사람이 많을수록 기존 전셋집 가격은 더 오릅니다.
→ 계약만료 1년 이내라면 재계약 가격을 미리 협의하거나, 가격이 오르기 전 반전세(보증부월세) 전환을 생각하세요.
→ 이사가 불가피하다면 3기 신도시 입주 시점까지 머무를 수 있는 저렴한 구축 아파트나 교통이 좋은 오피스텔로 미리 눈을 돌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1~3기 신도시 총정리
서울 집값이 오를 때마다 등장한 신도시들. 하지만 결과는 제각각. 정부가 내놓은 ‘해법’의 역사, 한눈에 살핍니다.
🏙️ 1기 신도시(1990년대) / 서울 집값을 잡아라!
•목적: 서울 인구 분산 + 주택 공급 확대
•대표 지역: 성남 분당, 고양 일산, 부천 중동, 안양 평촌, 군포 산본
•공급: 약 30만 가구
•분양가: 1991년 당시 3.3㎡당 180만~190만 원
•서울과 거리: 분당(강남 15km), 일산(광화문 20km)
•현재 이슈: 재건축 최대 화두
•특징: ① 서울 편입 막으려 약 20km 거리 확보 ② 1991년 입주 시작 후 서울 집값 안정 ③ 1997년 주택 보급률 82% 달성
🚉 2기 신도시(2000년대) / 서울 집값 또 잡아라!
•목적: 서울 집값 안정 + 1기 신도시의 ‘베드타운’ 문제 해결
•대표 지역: 성남 판교, 김포 한강, 파주 운정, 위례, 동탄, 광교
•공급: 약 60만 가구
•분양가: 2006년 당시 3.3㎡당 950만~1100만 원
•서울과 거리: 판교(강남 15km), 김포(여의도 17km), 파주 운정(광화문 30km)
•현재 이슈: 교통 인프라 부족 + 일부 지역 미완성
•특징: ① 판교·광교·동탄 성공 ② 김포·운정·검단 출퇴근 지옥 ③ 하남 감일 일부 단지, 사전 청약부터 본청약까지 10년 소요
🏡 3기 신도시(2020년대) / 집값, 이번엔 확실히 잡는다?
•목적: 서울 접근성 높은 신도시 개발 + 집값 안정
•대표 지역: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고양 창릉, 부천 대장
•공급: 약 18만 가구
•분양가: 2024년 기준 3.3㎡당 1400만 원대
•서울과 거리: 고양 창릉(광화문 15km), 하남 교산(강남 20km), 남양주 왕숙(강남 25km)
•현재 이슈: 입주 지연으로 사전 청약자 불만 폭발
•특징: ① GTX 등 광역 교통망 예정, 개통은 불확실 ② 공공임대 비율 35% 이상 ③ 유치원 100% 국·공립 운영
'뉴스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레터 25'04'01 - 검색 플랫폼, 챗GPT에 맞서 AI 강화 돌입 (0) | 2025.04.01 |
---|---|
뉴스레터 25'03'20 - Why Firing Programmers for AI Will Destroy Everything (0) | 2025.03.20 |
뉴스레터 25'03'15 - 🔮 차트 분석 기초! 이평선으로 흐름을 읽는 법 (0) | 2025.03.15 |
뉴스레터 25'03'14 - I quit my FAANG job because it'll be automated by the end of 2025 (0) | 2025.03.14 |
뉴스레터 25'03'13 - ✅ 오픈AI, '리스폰스 API' 출시로 AI 에이전트 시장 선점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