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피티 // 2025041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99809?sid=105
美, 엔비디아의 ‘저사양 AI 반도체’ 중국 수출 다시 제한
H20 수출 규제에 주가 6% 급락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중국용 저사양 인공지능(AI) 반도체인 ‘H20’의 대중 수출을 제한하기로했다. 이 제품은 최근 규제가 철회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중국
n.news.naver.com
🇺🇸 미국, 엔비디아의 중국용 AI 반도체 'H20' 수출 규제
✔️ 수출 규제: 미국 정부는 엔비디아의 저사양 AI 반도체인 ‘H20’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기로 결정. 이 반도체는 중국의 수퍼컴퓨터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
✔️ 배경: 최근 중국이 미국에 ‘맞불 관세’를 부과하는 등의 경제적 보복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이 규제를 다시 강화한 것으로 해석됨.
✔️ 엔비디아의 반응: 엔비디아는 H20의 대중 수출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통보를 받았으며, 이로 인해 1분기 55억 달러(약 7조 6000억원)의 분기 손실을 예상. 엔비디아 주가는 이에 따라 6% 이상 급락.
✔️ H20의 성능: H20은 엔비디아의 H200, B200 등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지만, 여러 개를 결합하면 AI 연구에 사용될 가능성이 존재. 중국의 AI 개발 업체인 딥시크가 H20을 사용해 AI 개발을 진행했다고 알려짐.
✔️ 미국의 이유: H20 반도체가 중국의 수퍼컴퓨터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규제. 그러나 엔비디아는 미국 내 AI 생산 설비에 4년간 5000억 달러 투자를 발표하며 규제를 면제받으려 했으나, 미국 정부는 수출 제한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음.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19606
'불안해서 못 살겠네' 발 동동…중국인들 싹쓸이 한 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 관세 정책 여파로 불안 심리가 고조된 중국 투자자가 안전자산인 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달 들어 중국의 실물 기반 금 상장지수펀드(ETF)로 흘러간 자금
n.news.naver.com
🟡 중국의 금 수요 급증과 글로벌 금 시장 변화
✔️ 중국 금 ETF 보유량 급증
- 2023년 1~11일 동안 중국의 금 ETF 보유량은 29.1t 증가, 이는 1분기 전체 유입량인 23.5t을 넘어선 수치
- 같은 기간 미국 금 ETF 유입량은 27.8t로, 중국의 증가폭을 따라잡지 못함
- 2분기에는 중국 투자자의 강한 매수세가 시장을 이끌 가능성 있음
✔️ 중국 투자자의 위험 회피 수요 증가
-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 발표 이후 위안화 가치가 약 0.6% 하락하며, 위안-달러 환율이 7.3499위안으로 최저치를 기록
- 지정학적·경제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로 중국 내에서 금에 대한 위험 회피 수요가 급증
✔️ 금 프리미엄 급등
- 중국 금 프리미엄이 1%로 급등, 런던 금값 대비 큰 폭 상승
- 금 대량 수입과 관련한 금 거래업자들의 활발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음
✔️ 중앙은행의 금 매입
- 2022년 폴란드 중앙은행이 90t의 금을 매입, 세계 중앙은행들이 총 1045t을 추가로 매입
- 3년 연속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량이 1000t 이상을 기록
✔️ 금 가격 상승
- 금 가격은 올해 들어 20% 이상 상승, 14일 기준 트로이온스당 3245.42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
- 금 ETF 유입량도 사상 최대 수준
💡 결론: 중국 투자자들의 금 수요 급증과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증가로 인해 금 시장은 현재 역사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금 ETF로의 자금 유입도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32333?sid=101
이직열풍·희망퇴직에도 대기업 근속연수 ↑…'21.8년' 기아 1위
CEO스코어, 100대 기업 직원 평균 근속연수 조사…평균 14.03년 최근 2030세대의 활발한 이직과 불황으로 인한 희망퇴직에도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 연수는 오히려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
n.news.naver.com
📊 2023년 대기업 직원 근속연수 현황
✔️ 전체 기업 평균 근속연수
- 2023년 대기업 평균 근속연수: 14.03년
- 2020년 대비 0.48년 증가, 지속적인 증가세
- 대기업의 근속연수는 13.55년 (2020년) → **13.91년 (2023년)**로 완만한 증가 추세
✔️ 성별 근속연수 차이
- 여성 직원: 2020년 11.38년 → 2024년 12.94년 (1.56년 증가)
- 남성 직원: 2020년 14.29년 → 2024년 14.41년 (0.12년 증가)
- 남녀 근속연수 격차: 2020년 2.91년 → 2024년 1.47년으로 감소
✔️ 기업별 근속연수
- 가장 긴 근속연수 기업: 기아 (21.80년)
- 기타 주요 기업:
- KT: 20.50년
- SK인천석유화학: 20.00년
- 한국씨티은행: 18.84년
- 대한항공: 18.40년
✔️ 가장 짧은 근속연수 기업
- 두산밥캣: 3.20년
- 기타 기업:
- 미래에셋캐피탈: 4.20년
- HD현대중공업: 4.30년
- 키움증권: 6.58년
- 네이버: 7.40년
📈 결론: 여성 직원의 근속연수 증가와 남녀 간 근속연수 격차 축소가 두드러진 가운데, 기아는 가장 긴 근속연수를 기록하고, 두산밥캣은 가장 짧은 근속연수를 보였음.
연금술사 // 20250417
1️⃣ 자산배분의 기본: 3-3-3 법칙을 기억하세요🎯
자산배분(Asset Allocation)이란 주식, 채권, 대체 자산 등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자산에 나눠 투자하는 방법으로 시장 변동성(리스크)을 줄이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강력한 대응 전략입니다.
3-3-3 법칙이란? = 주식형 30%, 채권형 30%, 대체투자 30%, 현금 10%
연금계좌를 ETF나 펀드로 구성할 경우, 자산비중이 변하기에 분기마다 3-3-3 비율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리밸런싱’해주는 것을 권장하는데,
리밸런싱을 실행하면 자연스럽게 가격이 오른 자산은 매도, 내린 자산은 매수하는 효과가 생겨요.
2️⃣ 글로벌 분산으로 환 리스크 줄이세요🌍
자산배분 3-3-3 법칙을 더 확장해 글로벌 배분까지 응용해 볼게요.
대부분의 연금계좌는 원화 자산 중심이라 글로벌 자산배분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한국 주식시장의 글로벌 비중은 단 1.5%에 불과하기 때문에 글로벌 자산배분상 원화 자산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이런 점을 고려해 3-3-3 법칙을 지키면 더 안정적인 구조가 되죠.
예를 들어 주식투자, 채권투자, 대체투자 각 30%를 구성할 때, 국내 10% / 해외 20%로 구성하는 것이 자산배분 효과를 보다 극대화하는 방법이에요.
steady study // 20250417
그거 다 어디에 기록하세요?
여러분은 어떤 정보 관리 체계를 가지고 계신가요?
www.stdy.blog
공부하고 기억하고 싶으면 Anki
Anki - powerful, intelligent flashcards
Anki supports complex workflows, but getting started is easy.
apps.ankiweb.net
'뉴스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레터 25'05'20 - 상하이 맞춤형 DZ 버스 | 스타벅스 딥브루 | 대선 부동산 공약 (1) | 2025.05.20 |
---|---|
뉴스레터 25'04'18 - 구글, 제미나이 ‘비오 2’ 영상 AI 공식 통합 출시 (0) | 2025.04.18 |
뉴스레터 25'04'16 - 오픈AI, 영리 전환 압박 속 내부 분열과 법정 공방 격화 (0) | 2025.04.16 |
뉴스레터 25'04'14 - "생성형 AI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중" 일부 발췌 (1) | 2025.04.14 |
뉴스레터 25'04'10 - 요즘 재테크로 CMA보다 ‘MMF·MMDA’가 주목받는 이유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