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뉴스레터 25'04'03 -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글로벌 통상 질서 충격

ttoance 2025. 4. 3. 19:35
반응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04396?sid=104

 

美, 한국시간 3일 오전5시 상호관세 발표…관세전쟁 글로벌 확대

20% 단일관세·국가별 개별관세 방안 거론 속 트럼프 최종 결정 주목철강·車관세 이어 상호관세 파고까지…'리더십 부재' 韓 대응 비상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부

n.news.naver.com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글로벌 통상 질서 충격

✔️ 상호관세 즉시 시행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4월 2일 오후,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동일하거나 더 낮은 수준으로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즉각 시행에 들어감.

✔️ 글로벌 관세 전쟁 확산
기존 중국·캐나다·멕시코 대상의 관세 조치에서 전 세계로 확장. EU 등도 맞대응을 예고하면서 자유무역 기반의 글로벌 통상 질서가 크게 흔들릴 전망.

✔️ 한국 수출 비상사태
한국은 자동차·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상호관세 타격까지 겹치며 위기. FTA 실효성 약화로 미국과 새로운 통상 규칙 재정립 필요.

✔️ 백악관, 단일관세율 또는 국가별 차등안 검토 중
20% 단일관세율안 또는 국가별 맞춤형 관세율안이 검토되었으며, 상호관세는 즉시 효력을 갖는다고 백악관은 설명.

✔️ 트럼프 “협상은 발표 이후 가능”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의 여지를 남기며 상호관세 발표 후 상대국과 대화를 하겠다는 입장도 밝힘.

✔️ 한국 정부 긴급 대응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4대 그룹 총수들과 ‘경제안보전략TF’ 긴급회의를 개최. 미국과 전방위 소통을 통해 대응책 마련 중.

✔️ 한국 포함한 ‘더티 15’ 가능성
미국 재무부가 관세 불공정 국가로 한국을 포함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존재.

✔️ 자동차 관세 및 추가 조치 예고
자동차에 25% 관세가 3일부터 발효, 의약품·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도 예고됨. 한국 수출품 경쟁력 악화 우려 커짐.

✔️ 세계적 관세 장벽 상승 가능성
미국의 상호관세를 기점으로 각국이 경쟁적으로 관세를 강화할 경우 글로벌 무역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

 

 

잘쓸레터 // 20250403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78888

 

“스드메 비용 세상 아까워요”…셀프촬영부터 해외직구까지 ‘신부들의 반란’ - 매일경제

쇼핑 플랫폼서 드레스 거래 2배 비싼 스튜디오 웨딩사진 대신 5만원 드레스·10만원 야외촬영 부케도 생화 대신 다이소 조화 공정위, 전국 예식장 전수 조사

www.mk.co.kr

‘가성비 웨딩’ 뜬다…손품으로 결혼 준비하는 MZ세대

✔️ 비싼 스드메 대신 ‘직접 준비’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스드메’)를 줄이고, 온라인 쇼핑·중고거래·DIY 방식으로 결혼을 준비하는 젊은 세대가 증가하고 있음.

✔️ 온라인·해외 직구 활용 급증
에이블리, 지그재그, 29CM 등에서 웨딩 관련 거래액이 급증. 2만 원대 드레스를 해외 직구하고 당근마켓으로 재판매하는 식의 ‘0원 드레스’ 사례도 등장.

✔️ 셀프 촬영·저가 소품 인기
스튜디오 대신 야외에서 스냅 촬영하거나, 웨딩 구두·베일·부케 등 소품을 저렴한 가격에 직접 구입 또는 제작. ‘셀프부케’, ‘조화부케’ 등의 DIY가 SNS에서 유행.

✔️ 웨딩 소비 트렌드 변화
럭셔리 브랜드 대신 5만~10만원대 구두가 인기. 국내 브랜드도 웨딩 라인 강화 중. 실용성과 합리적 가격을 중시하는 경향 뚜렷.

✔️ 스드메 비용 3년 새 53% 상승
결혼정보업체 듀오에 따르면 스드메 평균 비용은 2020년 235만 원에서 2023년 360만 원으로 급등. 인기 드레스는 추가비용 최대 150만원 발생.

✔️ 정부, 결혼 시장 가격 전수조사 착수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전국 2천여 개 결혼식장·대행업체 대상 가격 조사를 12월까지 9차례 실시 예정. 성수기/비성수기, 옵션 항목까지 조사.

✔️ 정책 실효성 우려도 제기
업체들이 조사를 의식해 가격을 조정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