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25'04'14 - "생성형 AI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중" 일부 발췌
https://0x1.pt/2025/04/06/the-insanity-of-being-a-software-engineer/
The Insanity of Being a Software Engineer
Is something I think about often because I can’t help but wonder if most other jobs are like this.
0x1.pt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라는 직업, 왜 이렇게 힘들까?
✔️ 시작부터 복잡함: 단순히 한두 개의 언어만 아는 것으로는 부족함. Rails, Django, Laravel 등 회사마다 다른 프레임워크를 알아야 하고, CSS와 JavaScript도 필수임.
✔️ 풀스택의 탄생: React의 등장 이후,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모두 다룰 줄 아는 풀스택 개발자가 요구됨. TypeScript, Redux, Webpack 등 추가 학습 항목은 끝이 없음.
✔️ 인프라도 너의 몫: 과거 시스템 관리자 역할이 이제는 개발자에게 넘어옴. Docker, Ansible, SystemD, AWS, Terraform 등 인프라 지식도 필수화됨.
✔️ 매니저가 되어도 평탄하지 않음: 일정 추정, 업무 분배, 리뷰, 피드백 등 새로운 역할을 배워야 하며, 회사 규모가 작으면 여전히 개발까지 떠맡게 됨.
✔️ 과도한 요구사항: 어떤 회사는 Rails, Hotwire, 네이티브 모바일까지 모두 가능한 시니어를 요구하기도 함. 전문화는 사라지고 만능을 요구받는 시대.
✔️ 비유로 보는 현실: 집을 지을 때 수많은 전문가가 협업하듯, 소프트웨어도 분업화가 필요함. 지금은 한 사람이 모든 역할을 감당하게 된 기형적 구조임.
✔️ 희망적 결론: “몇 개의 프롬프트만으로 앱을 만드는 미래”가 오히려 나은 선택일 수 있음.
https://www.seangoedecke.com/where-the-money-comes-from/
Knowing where your engineer salary comes from
How tech companies make money and why it's important
www.seangoedecke.com
💸 엔지니어 연봉은 어디서 나올까?
✔️ 회사 = 수익 창출 조직
기술 회사는 '돈을 벌기 위해' 존재하며, 엔지니어는 그 수익에 기여하기 위해 고용됨.
✔️ 수익과 연결되지 않으면 불안정
접근성 개선, 리팩토링, 오픈소스 등 수익과 직접 관련 없는 일만 하면 해고나 인사 불이익 위험 있음.
✔️ 가치 평가 기준 = 수익 기여도
회사는 '돈이 되는 일'에 더 많은 급여와 승진 기회를 줌. ‘좋은 일’이 아니라 ‘수익 창출 일’이 기준임.
✔️ 매니저나 조직 분위기에 의존하면 위험
현재는 보호받고 있어도 상사가 바뀌거나 분위기가 바뀌면 바로 위태로워질 수 있음.
✔️ 내 일이 수익과 연결되는 방식 파악 필요
자신이 만드는 기능이 어떤 고객에게 팔리고, 회사의 어떤 수익 모델을 지원하는지 분석해야 함.
✔️ '비수익' 작업을 하고 싶다면? → 대기업으로
대기업은 작은 변화도 큰 돈으로 연결되기에, UI 개선·접근성처럼 직접 수익이 없는 작업도 유지 가능.
✔️ 이상적 환상 대신 현실적 전략 필요
“좋은 회사는 좋은 일을 알아본다”는 환상보다, 수익 구조를 이해하고 거기에 맞는 역할을 찾는 것이 중요.
🧭 결론:
중요한 일을 해서가 아니라, 돈이 되는 일을 해서 급여를 받는다.
안정된 커리어를 원한다면, ‘내 일이 회사 수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명확히 이해하고 행동해야 한다.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Critical Thinking: Self-Reported Reductions in Cognitive Effort and Confidence Effects From a Sur
The rise of Generative AI (GenAI) in knowledge workflows raises questions about its impa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practices. We survey 319 knowledge workers to investigate 1) when and how they perceive the enaction of critical thinking when using
www.microsoft.com
"생성형 AI가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중" 일부 발췌
7 결론
우리는 매주 최소 한 번 이상 GenAI 도구(예: ChatGPT, Copilot 등)를 업무에 사용하는 지식 노동자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들이 GenAI 도구를 사용할 때 비판적 사고를 어떻게 실행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인지하는 사고 노력 정도를 분석했다. 참가자들이 공유한 936개의 실제 GenAI 사용 사례를 분석한 결과, 지식 노동자들은 주로 작업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예: 외부 자료와의 결과 비교 등) 비판적 사고를 수행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GenAI가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작업에 대한 비판적 관여를 방해하고, 도구에 대한 장기적 의존성 증가, 독립적인 문제 해결 능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GenAI가 과제를 잘 수행할 것이라는 신뢰도가 높을수록, 사용자의 비판적 사고 노력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GenAI 사용 시, 비판적 사고에 들이는 노력은 다음과 같이 형태가 변화한다:
- 정보 수집 → 정보 검증
- 문제 해결 → AI 응답 통합
- 과업 실행 → 과업 관리
지식 노동자들은 GenAI를 업무 흐름에 통합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비판적 사고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enAI 도구가 사용자의 인식, 동기, 능력의 장벽을 해결함으로써, 지식 노동자의 비판적 사고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미라클레터 // 20250414
[스티븐 미런 글로벌 무역 체제 개편에 대한 안내서] 일부 발췌 (24년도 11월)
제6장: 결론
트럼프의 다음 임기에서는 국제 경제 체제의 대대적인 개편과 그에 따른 시장의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도구들과, 정부가 원치 않는 결과를 피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은 그러한 맥락에서 사용자 안내서 역할을 하려는 시도입니다. 즉, 사용 가능한 몇 가지 정책 도구들과 그 경제적·시장적 영향, 그리고 원치 않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들을 살펴보았습니다.
"행정부가 달러의 환율(가치)에 영향을 줄 수단이 없다"는 월스트리트의 통념은 잘못된 인식입니다. 정부는 다자적 또는 일방적 방식 모두에서 달러 가치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어떤 접근 방식을 선택하든 간에,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무역 파트너 또는 연방준비제도(Fed)의 협조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든,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통해 협상에서 유리한 지렛대를 확보하고 세수를 늘리는 데 성공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통화 관련 수단을 사용하기 전 먼저 관세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세는 일반적으로 달러 강세 요인이므로, 투자자들은 국제 무역 체제 개편의 순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달러는 약세로 전환되기 전에 한동안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에 유리한 방식으로 세계 무역 및 금융 시스템을 재구성할 수 있는 경로는 존재하지만, 그 길은 좁고, 정교한 기획과 정확한 실행, 그리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신중한 조치가 함께 따라야 합니다.
2025년 4월 제이미 다이먼 주주서한
https://www.jpmorganchase.com/ir/annual-report/2024/ar-ceo-letters
Jamie Dimon's Letter to Shareholder's, Annual Report 2024 | JPMorganChase
The last five years have been a period of significant growth for us – as evidence, we added more than 60,000 people to our workforce. While we have been very successful during this time, which was complicated by the pandemic, we allowed some bad habits t
www.jpmorganchase.com
🇺🇸 미국과 세계가 직면한 갈림길: 지금 필요한 것은 리더십과 행동
✔️ 미국의 역할과 중요성
- 미국은 경제적·군사적·도덕적 힘을 지닌 유일한 나라
- 자유 세계의 미래는 미국의 리더십에 달려 있음
- JPMorgan의 성공 또한 미국과 세계의 안정에 기반
✔️ 위협의 현실
-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테러 → 세상이 안전하지 않다는 증거
- 미국의 헤게모니와 동맹 질서를 무너뜨리려는 세력 존재
-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이 분열되면 세계 질서는 붕괴
✔️ 5가지 핵심 과제
- 시민의식 회복: 미국의 가치를 겸손하게 자랑하며 시민 자긍심과 책임 의식 회복
- 내부 문제 해결: 이민, 교육, 정부 무능, 규제 과잉, 문화 전쟁, 소득 불평등 등 실질 문제를 직시하고 상식 회복
- 건강한 경제정책 수립: 모든 계층을 위한 경제 성장 기반 마련 → 연 3% 이상 GDP 성장 가능
- 글로벌 경제 리더십: ‘America First’를 넘어서 동맹과 함께 경제·무역 질서 재정립
- 군사력과 외교 강화: 평화를 위한 최강의 군사력 유지, 현실 외교(realpolitik) 추구
✔️ 중국과의 관계
- 경쟁자이자 파트너로서 냉철한 협상 필요
- 기술, 반도체, AI 등 핵심 영역에서 주도권 확보
- 중국의 Belt and Road에 대응하는 개발 금융 확대 필요
✔️ 경제·에너지 전략
- 미국의 에너지 자립은 지정학적 강점
- 기후 대응은 중요하지만 현실적인 균형 정책 필요
- 무역 적자는 투자 유입이지만 장기적으로 리스크 될 수 있음
✔️ 정치적 리더십 요구
- 극단 정치가 아닌, 중도적이고 실용적인 정치 지도자 필요
- 정치인은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국민에게 설명하고, 실질적 정책을 설계해야 함
✔️ 동맹 강화와 세계 전략
- 유럽과 아시아 동맹국들과의 협력이 경제적·군사적 안정의 핵심
- 외교는 이념보다 실익, 전략적 이해관계 우선
- 미국이 물러서면 중국·러시아가 그 공백을 채움
📌 결론: 지금은 미국이 경제와 군사, 가치의 힘을 통해 리더십을 되찾고, 내부 문제를 수습하며 세계 질서를 유지해야 할 결정적인 시점입니다.